본문 바로가기
명리학

용신이란 무엇인가

by 황교장 2017. 5. 4.

용신이란 무엇인가  

1. 용신이란 무엇인가.


사주공부에 있어서 가장 많은 시간과 고민을 하는 부분이 용신론이다. 용신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사주팔자 8글자 중에서 자신에게 가장 필요한 오행이다.

용신(用神)의 뜻은 쓸 용()과 귀신 신()이다. 귀신을 쓴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되겠다. 그만큼 사주에 있어서 용신의 개념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용신은 사주의 핵심이다.

사주가 신강하다면 일주를 억제하거나 왕성한 기운을 빼주는 기운이 필요하고 신약하면 도와주는 오행이 필요하다. 이렇게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필요한 것을 용신이라고 한다.

사주를 볼 때 제일 중시하는 것이 격국과 용신이다. 격국을 차()라고 하면 용신은 운전수(運轉手)와 같고 대운은 도로(道路)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될 것이다.

결국 격국도 중요하고, 용신도 중요하고, 대운도 중요하다.


2. 용신 찾는 방법


용신을 찾는 방법으로는 억부법, 조후법, 통관법, 병약법이 있다. 이외에 화기격, 외격(종왕, 종강, 종아, 종재, 종관격), 일행득기격, 양신성상격 등이 있다. 언급하지 않은 것도 더 많이 있다. 명리학 공부에서 평생을 용신공부하는 데 다 바쳐도 이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렇게 많은 용신을 찾는 방법 중에 80% 이상이 억부법으로 찾는다.

 

. 억부법(抑扶法)

억부법이란 강자의억 약자의부(强者宜抑 弱者宜扶)에서 나온 말이다. 강한 자는 마땅히 눌러주고 약한 자는 도와주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중용 즉 중도를 취해야 한다는 의미다. 사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중용지도(中庸之道)이다. 억부용신 역시 사주팔자 중에서 중용을 취하는 것이다.

그러면 사주에서 강한 자와 약한 자의 구별을 어떻게 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강약을 구별하는 것이 쉽지가 않다. 사주학 박사학위를 받은 전문가들도 일치하는 경우가 반도 안 된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로 강약을 구별하기는 쉽지가 않다. 기본원칙을 지키고 많은 사람들을 감정하는 경험을 쌓음으로써 미세한 부분까지 터득할 수 있다.

) 강약을 구분하는 기준

강약을 살피는 데 가장 중요한 세 가지가 있다. 득령(得令), 득지(得地), 득세(得勢)이다.


1) 득령

득령이란 일간을 기준으로 월지를 관찰하는 것이다. 이것은 격국과도 같은 의미이다.

갑목과 을목이 인월이나 묘월에 태어나면 득령을 했다고 한다. 즉 월지가 비견이나 겁재가 되면 득령을 했다고 보면 된다. 또한 갑목과 을목이 해월이나 자월에 태어나도 인월이나 묘월보다는 약하지만 득령을 했다고 보면 된다. 이는 수가 목을 생하기 때문이다.

다른 오행도 같은 원리다. 병화와 정화가 사월이나 오월에 태어나면 득령을 가장 강하게 하는 것이고 인월이나 묘월에 태어나면 그 다음으로 강하다.

 

예를 들어 아래 사주를 보면 일간인 갑목이 묘월에 태어나 득령을 했다.

時 日 月 年

乙 甲 乙 己

未 午 卯 未

 

반대로 일간 갑을목이 인묘월이나 해자월이 아닌 다른 계절에 태어나면 실령했다고 한다. 아래 사주는 갑목이 유금월에 태어나 실령을 했다.

時 日 月 年

乙 甲 乙 己

未 午 酉 未

 

2) 득지

득지는 일간을 기준으로 일지를 보는 방법이다. 일간이 비견이나 겁재를 얻을 때 득지를 한 것이다. 즉 갑인(甲寅) 을묘(乙卯) 병오(丙午) 정사(丁巳) 무진(戊辰) 무술(戊戌) 기축(己丑) 기미(己未) 경신(庚申) 신유(辛酉) 임자(壬子) 계해(癸亥)일 때 득지를 했다는 의미다. 그 다음으로는 일지가 갑자(甲子) 을해(乙亥) 병인(丙寅) 정묘(丁卯) 무오(戊午) 기사(己巳) 경술(庚戌) 경진(庚辰) 신축(辛丑) 신미(辛未) 임신(壬申) 계유(癸酉)를 말한다.

아래 사주는 일간 병화가 일지 오화에 득지를 한 것이다.

時 日 月 年

癸 丙 壬 丙

巳 午 辰 申

 

반대로 아래사주는 병화 일간이 자수 일에 태어나 실지를 했다.

時 日 月 年

癸 丙 壬 丙

巳 子 辰 申

 

3) 득세

득세는 사주팔자 8자 중에서 세력이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아래 사주는 일간 경금이 나와 같은 오행이 나를 포함하여 4개가 되고 나를 도와 주는 오행인 토가 3개나 되고 내가 극하는 오행인 목이 하나이지만 이 목을 을목이어서 을경 합금이 되어 모두가 토금으로 이루어져 세력이 아주 강하다. 이를 득세라고 한다.

時 日 月 年

乙 庚 辛 戊

未 申 酉 戌

 

반대로 아래 사주는 계수 일간이 도와주는 오행이 신금 하나에 내가 도와주는 오행인 목이 을목과 묘목이고 내가 극하는 화가 병화 오화이고 나를 극하는 미토가 2개나 되어 세력을 잃어 실세하는 사주다.

時 日 月 年

乙 癸 辛 丙

卯 未 未 午

 

) 강약의 종합 이해

사주의 구조를 살펴서 강한 사주를 신강사주라고 하고 약한 사주를 신약사주라고 한다. 신강사주 중에서도 비겁이 많아서 신강한지 인성이 많아서 신강한지를 구별해야 하고, 신약사주 중에서도 식상이 많아서 신약한지 재성이 많아서 신약한지 관성이 많아서 신약한지를 잘 판단하여야 한다.

     

신강(身强) : 월지에 나와 같은 오행인 비견, 겁재가 있는 경우, 또는 일간을 생하는 오행인 정인, 편인이 있는 경우에 신강하다고 한다.

신약(身弱) : 반대로 월지에 일간이 생해주는 식신, 상관이 있는 경우, 일간이 극하는 정재 편재가 있는 경우, 일간을 극하는 정관, 편관이 있는 경우 등을 신약하다고 한다.

 

(1) 신강사주

인성이 많아서 신강이 된 경우 재성으로 용신을 삼는다.

비겁이 많아서 신강이 된 경우 관살로 용신을 삼는다.

인성과 비겁이 섞여 있어서 강한 경우 식상으로 용신을 삼는다.

인성이 너무 지나치게 많으면 인성을 용신으로 할 수도 있다.

비겁이 지나치게 많으면 비겁을 용신으로 할 수도 있다.

 

(2) 신약사주

식상이 많아서 신약한 경우 인성이 용신이다.

관살이 많아서 신약한 경우에도 인성이 용신이다.

재성이 많아서 신약한 경우 비겁이 용신이다.

식신재성이 많아서 신약한 경우 인겁을 겸용하는 것이 좋다.

재살이 많아서 신약한 경우 인겁을 겸용하는 것이 좋다.

식재관이 많아서 신약한 경우 인겁을 겸용하는 것이 좋다.

식재관이 너무 많은 경우 식재관이 용신이 되는 수도 있다.

식상이 매우 왕한 경우 식상이 용신이 되는 경우도 있다.

재성이 매우 왕한 경우 재성이 용신이 되는 경우도 있다.

관살이 매우 왕한 경우 관살이 용신이 되는 경우도 있다.


결론적으로 사주의 강약을 판단한 후, 강하면 약하게 하는 오행을 찾고, 약하면 힘을 보충할 수 있는 오행을 찾는 것, 이것이 바로 억부법이고, 억부법에서 용신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것이 바로 중용이요 중화인 것이다. 말하기는 쉽지만 실제 이해하기는 아주 어렵다. 십간 십이지의 음양오행 상생상극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 조후법(調候法)

조후법이란 태어난 계절과 사주팔자 안에서 한난조습(寒暖燥濕) , 춥고, 덥고, 마르고, 습한 것에 따라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오행을 찾는 것이다. 너무 추우면 따뜻한 목화가 용신이고, 너무 더우면 시원한 금수가 용신이다. 너무 말랐으면 , 습토(濕土)가 용신이 되고, 너무 습하면 , 조토(燥土)용신이 된다.

음양이 한쪽으로 치우쳤다면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음양의 조화 없이는 만물이 성장 발달을 할 수가 없다. 너무 덥고 말라도 생기가 없어 살 수 없고, 춥고 습하여 얼어 붙어도 살 수 없다.

조후용신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지지이다. 특히 절기 상 , , 월은 춥고, , , 월은 덥다.

위 계절에는 조후가 필요하다. 그러나 팔자 전체를 판단해야 한다. 추운 글자가 많은지 더운 글자가 많은지를 잘 보아야 한다

.

. 통관법(通關法)

사주에서 서로 극하는 오행이 비슷한 세력을 갖고 있을 때 이를 소통 시켜주는 것을 용신으로 삼는 것이 통관법이다.

, 금과 목이 싸울 때 수를 용신으로 삼는다. 이는 金生水, 水生木으로 수가 금과 목 사이에 들어가 통관을 시켜주기 때문이다. 같은 원리로 화와 수가 싸울 때 목을 용신으로 삼아 水生木, 木生火로 통관을 시켜서 싸움을 말려주는 것이 용신이다.

 

(1) 금과 목이 싸우면 수가 용신이다.

(2) 수와 화가 싸우면 목이 용신이다.

(3) 목과 토가 싸우면 화가 용신이다.

(4) 화와 금이 싸우면 토가 용신이다.

(5) 토와 수가 싸우면 금이 용신이다.

 

예시)

時 日 月 年

乙 乙 乙 乙

酉 酉 酉 亥

 

이 사주는 일간 을목이 관살인 유금이 셋이나 되어 신약사주다. 용신은 관살인 유금과 일간인 을목을 통관시켜 주는 해수가 용신이다.

   

. 병약법(病藥法)

사주 팔자가 병들었는데 이를 치료하는 오행이 있으면 그 오행이 약이다. 약을 용신으로 쓰는 법이다.

사주가 신약하면 일주를 생해 주는 오행을 용신으로 삼는데 그 오행을 극하는 오행을 병신(病神)이라 하고 다시 그 병신을 극하여 없애는 오행을 약신(藥神)으로 삼는 방법이다.

갑목이 용신인데 경금이 갑목을 극하면 이때 경금을 병신이라고 한다. 병신인 경금을 극하는 정화가 있으면 정화가 약신이다.

명리정종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어떤 것이 병이라고 하는가? 사주팔자 중에서 나쁜 글자가 있는데 이는 용신을 극하므로 나쁘다. 이를 병신이라고 한다. 이 병신을 극하는 글자가 희신이다. 이 희신이 약이다. 병이 있어야 귀명이고 상함이 없다면 기이한 명이라고 할 수 없다. 팔자 중에 있는 병을 운에서 제거할 때 부귀가 함께 따른다고 했다.

또한 지극히 부귀한 사람은 먼저 그 근골을 힘들게 하고 피부를 말리며 심신을 공허하게 한 뒤 인성을 닦고 노력하여 그 능력을 함양한 후에 비로소 큰 그릇을 만들 수 있다

 

결국 부귀를 얻는 사람들은 많은 인내와 노력의 결과물이라는 의미다.

. , , , , 한이란 무엇인가.

용신을 찾았다면 다음은 운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기준을 정해야 한다. 그 기준이 희, , , , 한이다. 즉 희신, 용신, 기신, 구신, 한신의 앞 글자만 모아 놓은 것을 말한다.

 

용신을 찾았는데, 그 오행인 목이라면, 용신의 힘을 못쓰게 하는 것은 용신을 극하는 오행이다. 목을 극하는 오행은 금이다. 바로 금이 기신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정해진 기신을 관리하여 용신을 도와주어야 하는데, 이런 임무를 띤 오행은 기신인 금을 극하는 오행인 화다. 화는 금을 극하므로 용신인 목을 보호해 주는 것이 희신이다.

 

이를 정리하면

용신(用神) : 일간이 중화를 이루는데 가장 필요한 오행

희신(喜神) : 용신을 돕는 오행

기신(忌神) : 용신을 극하는 오행

구신(仇神) : 희신을 극하는 오행 또는 기신을 돕는 오행

한신(閑神) : 한가로이 일이 없는 오행이나 운에서 길흉에 관여한다.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간과 진로직업   (0) 2017.05.05
용신과 진로직업   (0) 2017.05.05
격국과 진로직업   (0) 2017.05.04
4차 산업혁명과 직업  (0) 2017.05.04
명리학과 진로상담  (0) 2014.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