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100

십성2- 겁재이야기 십성2- 겁재이야기 사주의 구성에서 일간과 오행은 같으나 음양이 다른 것을 겁재라고 한다. 겁재(劫財)를 한자로 풀이하면 겁탈할 겁(劫) 재물 재(財) 즉 재물을 겁탈한다는 무시무시한 의미이다. 겁재는 사주에서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일간과 같은 오행이므로 비견과 유사하다. 따라서 인간관계를 .. 2008. 2. 22.
십성1 - 비견이야기 십성1 - 비견이야기 비견(比肩)은 한자로 풀이하면 견줄 비(比)와 어깨 견(肩)이다. 즉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의미다. 사주의 구성에서 일간과 같은 것을 비견이라고 한다. 비견은 사주에서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일간과 같은 음양오행이므로 인간관계로 보면 형제, 친구, 동료 등으로 해석한다. 그러므.. 2008. 2. 15.
십성(十星), 사주 분석의 핵심 십성(十星), 사주 분석의 핵심 겨울방학 동안에 내공을 쌓느라고 글을 올리지 못하였다. 이번 방학 중 보람은 두 가지 연수를 받은 것이다. 하나는 한국학교상담연구소가 주관하는 "심리검사를 활용한 학생상담의 실제"이고 다른 하나는 부산파라미타청소년협회에서 주관한 "불화의 체험과 이해"이다. .. 2008. 2. 10.
사주공부를 쉽고 재미있게 하는 법 사주공부를 쉽고 재미있게 하는 법 나의 취미생활 중 하나는 서점에 들러 새로 나온 책들을 구경하는 것이다. 약속시간이 남으면 근처에 있는 서점에서 시간을 보낸다. 이러한 취미생활 덕분에 지난 이십 수 년간 정상적인 방법으로 출판된 사주책은 제목과 기본적인 내용은 거의 다 보았다고 해도 과.. 2007. 10. 24.
사주의 역사 3-어떤 책을 볼 것인가- 사주의 역사 3-어떤 책을 볼 것인가- 1. 오대십국과 송나라 현대 사주이론의 기본인 일간을 중심으로 보는 방법은 서자평(徐子平)이 처음으로 사용했다. 서자평은 당(唐)이 멸망하고 송(宋)이 건국되기까지 53년간 혼란기인 오대십국(五代十國, 907-960)시대의 사람이다. 서자평은 종전의 년주(年柱)위주에.. 2007. 10. 24.
사주의 역사 2 - 당사주 보는법 사주의 역사 2 - 당사주 보는법 당사주는 당나라 때 이허중이 지었다고도 하고, 달마대사(達磨大師)가 지은 것을 당대(唐代)의 천문학자인 일행선사(一行禪師)가 문서화하였다고도 한다. 이허중은 794년에 과거에 급제하여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를 지낸 인물이다. 그는 전국시대에 살았던 귀곡자(鬼.. 2007.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