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8

포항 호미곶 마라톤 완주기 포항 호미곶 마라톤 완주기 살아가면서 우리는 여러 가지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내 삶에 있어 하나의 전환점이 된 것은 마라톤이다. 마라톤 입문 이후 1년 반만에 처음으로 풀코스를 완주한 대회가 포항 호미곶 마라톤 대회이다. 호미곶은 지금은 행정 구역 상 포항시 대보면에 속해 있지만 조선시.. 2007. 9. 26.
십이지 다섯 번째 - 진토 이야기 십이지 다섯 번째 - 진토 이야기 지장간에 있어서 가장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토이다. 십간은 오행이 음과 양으로 각각 2개씩 배당되어 10가지이다. 이에 비해 지지는 12개로 이중 목, 화, 금, 수는 음과 양 2개씩 배당되어 있고, 중간에 있는 토가 4개가 된다. 지지에 있는 토는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에 배.. 2007. 9. 22.
십이지 네 번째 - 묘목 이야기 십이지 네 번째 - 묘목 이야기 묘목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 보자. 묘목은 음의 목으로 지장간을 두 개 가지고 있다. 묘의 지장간은 갑(甲)과 을(乙)이다. 묘 안에는 큰 나무인 甲목과 덩굴나무인 乙목의 속성들을 다 갖고 있다. 그러나 묘목의 지장간인 갑목과 을목은 둘 다 오행으로 보면 나무이다. 묘.. 2007. 9. 21.
십이지 세 번째 - 인목 이야기 십이지 세 번째 - 인목 이야기 사주를 보는 데 있어서 가장 난해한 부분 중 하나가 지장간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내 경우에는 지장간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 데 십여 년 이상 걸렸다. 지장간을 무시하면 사주가 맞을 확률이 훨씬 줄어든다. 따라서 지장간은 이해를 한 다음에는 반드시 외워야 한.. 2007. 9. 17.
십이지 두 번째 - 축토 이야기 십이지 두 번째 - 축토 이야기 앞글 자수 이야기에서 지장간이 어려워 이해가 안 된다는 사람이 많았다. 그래서 다시 부연 설명해 보면, 지장간이란, 지지에 천간이 숨어 있다는 뜻이다. 십간은 양의 성질이라 겉으로 드러나지만 십이지는 음의 성질이라서 겉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숨겨져 있는 것이 많.. 2007. 9. 15.
십이지 첫 번째 - 자수 이야기 십이지 첫 번째 - 자수 이야기 처음에 황도사 사주여행을 시작할 때는 사주글과 여행글의 균형을 맞추려고 했었다. 그런데 글을 쓰다 보니 여행기만 많아지고 말았다. 내 본심은 궁극적으로는 사주글을 잘 쓰고자 하는 것이었는데, 잘 쓰고자 하는 마음이 오히려 천천히 쓰게 만들었다. 사주에서 십이.. 2007.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