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8

택일2 - 손 없는 날과 대장군방과 삼살방에 대한 고찰 택일2 - 손 없는 날과 대장군방과 삼살방에 대한 고찰 1. 손 없는 날에 대한 고찰 손 없는 날은 다른 조건은 다 무시하고 음력날짜만을 가지고 이야기를 한다. 사주팔자에 관계없이 손이 없는 날에 이사를 가면 아무런 장애가 없다는 이야기이다. 이는 설득력이 없다. 그러나 지금도 손이 없는 날인 음력으로 매월 9, 10, 19, 20, 29, 30일에는 이사가 한꺼번에 집중하여 이삿짐센터가 바쁘고 가격도 비싸다고 한다. ‘손 없는 날’이라는 말의 '손'은 민속신앙에서 온 것이다. 민속신앙에서 '손'이란 일수(日數)에 따라 동서남북 4방위를 돌아다니면서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해코지하는 귀신을 말한다. 이 귀신은 음력으로 1ㆍ2일에는 동쪽, 3ㆍ4일에는 남쪽, 5ㆍ6일에는 서쪽, 7ㆍ8일에는 북쪽에서 활동하.. 2022. 1. 5.
택일 1- 이사 날짜 잡는 법 택일 1- 이사 날짜 잡는 법 택일(擇日)이란 결혼을 하거나 이사를 할 때 가장 좋은 날을 잡는 것을 말한다. 우리 조상들은 예로부터 길, 흉사 등에 좋은 날을 택함으로써 나쁜 것을 피하고자 했다. ‘살(殺)’을 억제하고 좋은 날을 택하여 나쁜 것을 피하고 좋은 것을 취하는 피흉취길(避凶取吉)했다. 또한 조상의 제삿날, 농번기, 삼복이 낀 달 등을 피하여 택일하기도 한다. 운에 따라 처신하는 것은 소극적인 방법이지만 나쁜 운을 멀리하고 좋은 운을 가져오도록 하는 택일은 적극적인 방법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신부 댁에 신랑의 사주단자(四柱單子)를 보내 결혼 날을 잡도록 하였다. 택일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본인의 사주를 중심으로 택일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주를 잘 볼 줄 알아.. 2022. 1. 4.
보살과 반가사유상 보살의 종류와 역할 보살(菩薩)은 부처를 보필하면서 중생을 구제하고 궁극적으로는 부처가 되기 위해 열심히 수도하는 자를 말한다. 또한 모든 중생이 부처님의 성품인 불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모든 중생을 보살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보살은 중생으로서의 범부보살부터 미륵보살,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등 부처님에 버금가는 보살까지 다양하다. 불교에서는 모든 이가 불성을 가진다고 한다. 불성은 부처님의 성품이자, 부처님이 될 씨앗을 말한다. 그래서 모든 중생은 부처가 걸었던 길로 열심히 수행을 하면 누구나 다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의미다. 특정한 보살만이 아니라 누구든지 성불(成佛)하겠다는 서원을 일으켜서 보살의 길로 나아가면 그 사람이 바로 보살이며, 장차 성불할 수 있다는 것이 ‘범부보살사상(凡夫菩薩思想)’이.. 2021. 12. 31.
부처님의 모습과 수인 부처님의 모습과 수인 1. 상호 부처님의 모습을 상호(相好)라고 한다. 상호라는 말은 부처님의 신체적인 특징인 32상 80종호에서 나온 것이다. 부처님 몸에는 삼십이상 팔십종호(三十二相八十種好) 즉 32가지 두드러진 특징과 80가지 미세한 특징이 있다. 첫 번째가 광배(光背)다. 광배는 불보살의 머리나 몸체에서 발하는 빛을 형상화한 것으로 신비함과 위대함을 상징한다. 서산 마애삼존불에서도 부처님의 광배가 협시보살의 광배보다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화려하고 넓게 퍼져 있다. 두 번째가 육계(肉髻)다. 부처님의 특징 중에 정유육계(頂有肉髮)가 있다. 부처님의 정수리 즉 머리 위(肉)에 뼈가 올라와 상투(髻)처럼 보이는 모습이다. 이는 부처 32길상의 하나로서 보통 부처의 머리 위에 혹과 같이 살[肉]이 올라온.. 2021. 12. 31.
여래불상의 종류와 역할 여래불상의 종류와 역할 서산 마애삼존불에서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삼존불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이다. 왜 여래불은 가운데에 크게 새겨놓고 협시불은 작게 새겼는지가 궁금할 것이다. 이는 여래와 보살의 차이라고 생각된다. 여래란 진리를 깨달은 자로, 득도하여 윤회의 바퀴에서 벗어나 열반에 이른 존재를 말한다. 여래 중에서 석가여래는 불교의 창시자로 부처님이다. 아미타여래는 서방극락세계에 살면서 중생을 위해 자비를 베푸는 부처로서, 무량수불이라고도 한다. 비로자나불은 ‘화엄경’의 부처로서, 모든 곳에 광명을 비추고 인간세계를 포용하는 존재다. 약사여래는 질병의 고통을 없애주는 부처로, 동방정유리세계에 머물면서 중생의 병을 치료하고 수명을 연장해 주는 존재이다. 보살(菩薩)은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이다. .. 2021. 12. 30.
한국불교와 불상의 전래과정 한국불교와 불상의 전래과정 서산마애삼존불을 보고는 지금도 이처럼 궁벽한 곳에 당시에 이렇게 훌륭한 마애불이 어떻게 조성되었는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불상의 전래에 대해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느껴졌다. 따라서 불상의 시작과 중간과정을 거쳐 이곳 서산마애불까지 온 과정을 공부하고자 한다. 오늘날 불상은 사찰에서 예배의 중심이지만 석가모니 사후 초기 불교에서는 불상이 제작되지 않았다. 부처님의 형상 대신 보리수, 법륜, 탑 등을 예배의 대상으로 삼았다. 정반왕의 왕비 마야부인이 상아 여섯 개가 달린 코끼리가 태내에 들어오는 태몽을 꾸고 석가모니를 잉태했다. 그리고 출산일이 다가오자 해산을 위해 친정으로 가던 도중 룸비니 동산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석가모니를 낳았다. 석가모니가 6년간의 고행을 중단하고 보리수.. 2021.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