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성 5- 편재이야기
사주의 구성에서 일간이 극(剋)하는 오행을 재성이라고 한다. 재성은 정재와 편재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음양이 같은 것을 편재라고 한다.
편재(偏財)를 한자로 풀이하면 치우칠 편(偏)과 재물 재(財) 즉 치우친 재물이라는 의미이다. 정재를 바른 재물이라면 편재는 치우친 재물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 두 경우를 구별하기보다는 같이 쓰일 때가 많다.
사주에서 편재는 재물과 아버지를 뜻하는데 남자의 경우 여자를 나타내기도 한다.
편재는 남녀 공히 재물 즉 돈으로 풀이한다. 편재는 일간인 내가 직접 극하는 것으로 내 마음대로 쓸 수 있다는 면에서 내가 갖고 있는 재물로 본 것이다.
그리고 남자의 경우 첩이나 애인, 부인 등을 편재로 보는데 이는 여자를 남자에게 속한 재물로 보는 봉건시대의 잔재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 속담에 무더운 한여름에는 "첩산이 팔아서 부채 산다"는 말이 있다. 이때도 첩이 아니고 첩산(妾産) 즉 첩도 재산의 일종으로 본 것이다. 여성 동지들은 기분이 나쁘겠지만 말이다.
또한 남녀 공히 편재를 부친 즉 아버지로 보았다. 자식 입장에서 보면 아버지라는 존재는 내가 마음대로 해도 되는 사람으로 본 것이다. 이는 아버지가 갖고 있는 재물이 다 자식의 몫이라는 의미이다. 봉건시대에 이와 같은 이론을 전제로 한 옛 선인들의 지혜가 놀랍지 않은가.
일반적으로 정재는 고정적인 돈 즉 월급 등으로 보고 편재는 사업 등으로 인해 벌어 들이는 일시적인 큰돈을 의미하기도 한다. 옛날 사람들은 정재는 본 부인이고 편재는 첩으로 보았다. 지금도 일반적으로 정재는 본부인이고 편재는 애인으로 봐도 되지만 현대적 의미에서는 구별하지 않고 정재든 편재든 남자의 입장에서 여자로 보고 풀이하는 경향이 강하다.
정리하면
편재는 일간인 내가 극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음양이 같다. 편재가 적절하게 잘 구성된 사주는 재물복, 여자복, 아버지복을 타고난 사람으로 본다.
행복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서경(書經) 홍범(洪範)편에 나오는 오복(五福) 즉 다섯 가지 복인 것이다.
첫째가 수(壽), 즉 목숨이다. 목숨이 살아 있어야 행복도 함께 있는 것이지 죽고 난 뒤의 재산은 아무런 의미가 없지가 않은가. 그 다음이 부(富), 강녕(康寧, 몸이 건강하여 마음이 편안함). 유호덕(攸好德, 도덕을 지키기를 낙으로 삼는 일)
, 고종명(考終命, 제 명대로 다 살다가 편안하게 죽음)을 오복으로 보았다.
여담으로 조선조 왕의 침전인 강녕전(康寧殿)의 강녕이 바로 이 오복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서민들의 경우 서경(書經) 통속(通俗)편에 나오는 것으로 수(壽), 부(富), 귀(貴), 강녕(康寧), 자손중다(子孫衆多)를 오복으로 보았다.
최근 여러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신오복은 일 건(健), 이 처(妻), 삼 재(財), 사 사(事), 오 붕(朋)이라고 한다. 건강과 좋은 배우자, 돈과 할 일이 있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같이 놀 친구가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신 오복에서는 돈보다도 妻를 2위에 올려 놓았다. 이는 '인명은 재처'라는 신조어가 생겼을 정도로 배우자가 중요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옛사람이나 지금 사람이나 귀(貴)보다는 부(富)를 더욱 중시한 것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야기할 때도 부귀(富貴)라고 하지 귀부(貴富)라고 하지 않는다. 이러한 부를 나타내는 것이 사주에서 재성이다.
인생이라는 것은 끝없이 흘러가는 세월 가운데 주어진 시간을 살아가는 일회적 존재다. 행복과 불행이 교차하면서 변화무쌍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인생살이인 것이다. 이러한 유한적인 삶이기에 더욱더 살아있는 동안만이라도 행복하게 살려고 하는 것이 인간의 욕망인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욕망을 잘 보여주는 것이 재성이므로 재성은 사주에서 4길신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편재의 성격이 많이 나타나는 경우는 월지가 편재인 경우이다.
그러나 월지가 편재이고 다른 곳에 편재나 정재가 2개 이상 있는 사람들은 반대로 아버지 복이 없거나 여자들에게 휘둘려서 재산을 탕진하거나 제비족으로 전락하는 경우도 있다. 일간이 약하면 많은 재성들을 거느릴 수 있는 힘이 없기 때문이다. 내가 극한다 하더라도 너무 많으면 결국 내 힘도 빠질 수밖에 없다. 또한 재성이 너무 많으면 내 기운이 빠져 건강이 나빠질 수도 있다. '재다신약(財多身弱)'이라는 말이 있는데 재가 많으면 몸이 약해진다는 뜻이다. '지나친 욕심은 건강을 해친다.' 요즘처럼 황금만능의 사회 분위기에서 곰곰이 생각해 볼만한 구절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주팔자를 가진 사람들은 직업과 궁합을 잘 맞추거나 심신수련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
월지 편재는 다음과 같다.
갑(甲)목 일간이 진(辰), 술(戌)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편재이다.
을(乙)목 일간이 축(丑), 미(未)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편재이다.
병(丙)화 일간이 신(申)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편재이다.
정(丁)화 일간이 유(酉)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편재이다.
무(戊)토 일간이 해(亥)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편재이다.
기(己)토 일간이 자(子)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편재이다.
경(庚)금 일간이 인(寅)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편재이다.
신(辛)금 일간이 묘(卯)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편재이다.
임(壬)수 일간이 사(巳)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편재이다.
계(癸)수 일간이 오(午)월에 태어나면 월지가 편재이다.
Amazing grace, how sweet the sound
That saved a wretch like me.
I once was lost, but now I'm found.
Was blind, but now I see.
'Twas grace that taught My heart to fear
And grace that feared relieved
How precious did That grace appear
The hour I first believed
Thro' many dangers, toils and snares
I have aleady come.
'Tis grace hath bro't me safe thus far,
And grace will lead me home.
When we've been there ten thousand years
Bright shining as the sun,
We've no less days to sing God's praise
Then when we first begun.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성 7- 정관이야기 (0) | 2008.03.30 |
---|---|
십성 6- 정재이야기 (0) | 2008.03.23 |
십성4- 상관이야기 (0) | 2008.03.06 |
십성3- 식신이야기 (0) | 2008.02.26 |
십성2- 겁재이야기 (0) | 2008.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