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

간지의 변화 5 -간충

by 황교장 2008. 10. 5.

간지의 변화 5 -간충

 

충(沖)은 충돌(衝突)을 뜻한다. 즉 서로 다투고 싸운다는 의미다. 이와 같이 사주에 충이 있으면 나쁘게 작용한다. 그러나 사주의 구성에 따라서는 충이 필요한 경우도 많다. 따라서 충이라고 해서 반드시 나쁘다고만 보아서는 안 된다.

충에는 간충(干沖)과 지충(支沖)이 있다. 간충은 10간의 간 끼리 충이고 지충은 12지의 지지 끼리의 충을 말한다.

 

여기서는 간충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간충은 상극(相剋)하는 오행의 간이면서 방향이 반대이다.

즉 양간은 양간끼리 음간은 음간끼리 극(剋)하는 오행을 말한다.

자연에서도 볼 수 있듯이 수컷끼리 만나면 늘 다툰다. 서로 암컷을 차지하려고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는 자연의 이치다. 암컷도 좋은 수컷이 나타나면 서로 차지하기 위하여 반목과 질시를 하는 것이다.

사주에서도 마찬가지다. 음양이 다르면 합을 하는데 음양이 같으면 충돌이 일어나는 것이 자연의 이치다.

 

1. 甲庚충

庚금이 甲목을 극하는 형태다. 양금인 경금이 양목인 갑목을 극한다.

서방인 경금이 동방인 갑목을 충하는 것이다.

 

2. 乙辛충

辛금이 乙목을 극하는 형태다. 음금인 신금이 음목인 을목을 극한다.

서방인 신금이 동방인 을목을 충하는 것이다.

 

3. 丙壬충

壬수가 丙화를 극하는 형태다. 이는 양수인 임수가 양화인 병화를 극한다.

북방인 임수가 남방인 병화를 충하는 것이다.

 

4. 丁癸충

癸수가 丁화를 극하는 형태다. 음수인 계수가 음화인 정화를 극한다.

북방인 계수가 남방인 정화를 충하는 것이다.

 

5. 戊甲극

甲목이 戊토를 극하는 형태다. 양목인 갑목이 양토인 무토를 극한다.

동방인 갑목이 중앙인 무토를 극하는 것이다.

 

6. 己乙극

乙목이 己토를 극하는 형태다. 음목인 을목이 음토인 기토를 극한다.

동방인 을목이 중앙인 기토를 극하는 것이다.

 

7. 庚丙극

丙화가 庚금을 극하는 형태다. 양화인 병화가 양금인 경금을 극한다.

남방인 병화가 서방인 경금을 극하는 것이다.

 

8. 辛丁극

丁화가 辛금을 극하는 형태다. 음화인 정화가 음금인 신금을 극한다.

남방인 정화가 서방인 신금을 극하는 것이다.

 

9. 壬戊극

戊토가 壬수를 극하는 형태다. 양토인 무토가 양수인 임수를 극한다.

중앙인 무토가 북방의 임수를 극하는 것이다.

 

10. 癸己극

己토가 癸수를 극하는 형태다. 음토인 기토가 음수인 계수를 극한다.

중앙인 기토가 북방인 계수를 극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볼 때 천간충은 갑경, 을신, 병임, 정계의 4가지의 경우에만 해당된다. 나머지는 극이다. 책에 따라서는 위의 10가지를 모두 다 충이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 감정을 해 보면 충과 극은 미묘한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충이 극보다 충돌이 더 심한 경우가 많다.

 

사주명리학의 고전인 위천리의 「정선명리약언」에 보면,

“천간의 갑과 경이 서로 충하고, 을과 신이 서로 충하고, 임과 병이 서로 충하고, 계와 정이 서로 충한다. 이는 동과 서, 남과 북으로 서로 대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병과 경, 정과 신은 서로 볼 때는 극하는 관계로 논하지, 충으로 논하지 않는다. 이는 남과 서의 방향은 서로 대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무와 기는 충이 없다. 이는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대치가 없기 때문이다.(天干甲庚相衝, 乙辛相衝, 壬丙相衝, 癸丁相衝, 蓋東與西, 南與北相對也, 丙庚丁辛相見以剋論, 不以衝論, 蓋南與西不相對也 戊己無衝, 蓋居中無對也, 천간갑경상충, 을신상충, 임병상충, 계정상충, 개동여서, 남여북상대야, 병경정신상견이극론, 불이충론, 개남여서불상대야, 무기무충, 개거중무대야)”

 

이는 음양오행의 상생상극과 오행의 방위를 이해하면서 외우면 잘 외울 수 있다.

간의 충은 궁합을 볼 때 많이 사용을 한다.

예를 들면 남자의 사주의 일간이 甲목이고 여자가 庚금이라면 경금이 갑목을 충하는 관계로 여자인 경금이 남자인 갑목에게 이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사주팔자를 다 분석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궁합이 좋지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일주의 지지끼리도 충을 하는 천충, 지충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혼하지 않는 것이 옳다고 생각된다.

 

 

 

19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살1 -삼형살과 형살  (0) 2008.11.20
간지의 변화 6 - 지충  (0) 2008.10.23
간지의 변화 4-방합-  (0) 2008.09.28
간지의 변화3 -지지삼합  (0) 2008.07.01
간지의 변화 2-지합 이야기  (0) 2008.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