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기219 국보70호 훈민정음 해례본의 원조 광산김씨 긍구당 고택 국보70호 훈민정음 해례본의 원조 광산김씨 긍구당 고택 임청각을 나와 안동댐의 경치를 감상하면서 청량산 방향으로 잡았다. 길을 따라가다 보니 이정표에 예안이라고 적혀 있다. 예안을 보는 순간 퇴계선생의 예안 향약이 머리에 떠올랐다. 예안이 어떤 동네인지 항상 궁금하던 터라 방향을 예안 쪽.. 2007. 7. 3. 안동 선비의 기개 석주 이상룡 생가 임청각 안동 선비의 기개 석주 이상룡 생가 임청각 신세동칠층석탑에서 200M 정도 골목길을 따라 가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국무령(國務領)을 지낸 독립투사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선생의 생가인 임청각(臨淸閣)이 나온다. 석주선생은 학봉종택 김흥락선생의 제자이기도 하다. 임청각은 보물 제182호.. 2007. 7. 1. 시대의 희생양 국보 16호 신세동칠층전탑 시대의 희생물 국보 16호 신세동칠층전탑 삼태사묘를 나와 안동댐으로 향하면 중앙선 철길 넘어 우뚝 선 탑이 보인다. 이 탑이 국보 16호인 신세동칠층전탑이다. 철길 방음벽에 가려 가까이 가서 보지 않으면 겨우 윗부분만 보여 탑의 본 모습을 느끼기 어렵다. 철길만 없다면 멀리서도 전체를 다 조망.. 2007. 6. 28. 안동의 뿌리 삼태사묘 안동의 뿌리 삼태사묘 제비원을 나와 안동 시내에 들어오면 구시가지의 중심에 안동태사묘(安東太師廟)가 있다. 안동태사묘는 안동 김(金)씨의 시조 김선평(金宣平), 안동 권(權)씨의 시조 권행(權幸), 안동 장(張)씨의 시조 장정필(張貞弼)을 모신 사당이다. 삼태사묘 숭보당 안동은 신라 경덕왕 때부.. 2007. 6. 25. 성주풀이의 본고장 이천동 제비원 석불 성주풀이의 본고장 이천동 제비원 석불 봉정사를 나와 안동방향으로 좌회전하여 5분 정도 영주 가는 국도 5호를 만난다. 다시 안동 쪽으로 우회전 하여 5km 정도 가면 왼편에 이천동 석불(보물 제 115호)이 나온다. 이천동 석불은 차를 타고가다 보는 모습이 가까이 가서 보는 것보다 더 확연하다. 이천동.. 2007. 6. 23. 우리나라 最古의 목조건물이 있는 절 천등산 봉정사 우리나라 절집을 많이 다녀 봤지만 봉정사만큼 기품 있고 절집다운 절은 없었다. 그동안 봉정사는 절집다운 절로 내 마음에 남아 있었다. 그런데 수 년 전 근처를 지나다가 봉정사에 들렸더니 관광버스 두 대에서 시끄러운 유행가 뽕짝 공해를 일으키며 많은 사람들이 내리고 있었다. 거기에다 전에 .. 2007. 6. 20.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다음